 |
|
최근 우리나라는 노령화가 급속히 진행되고 식생활, 생활양식 등이 서구화되면서 고혈압, 동맥경화증, 허혈성 심장질환 등 심혈관 질환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습니다.
통계청에 따르면 현재남녀 사망 원인 중 여성 1위, 남성2위가 순환기 질환이며, 더구나 최근에는 30, 40대의 연령층에서의 심혈관 질환 발생률도 증가하고 있는 추세입 니다. 이러한 심혈관 질환은 조기에 발견하고, 적절히 치료하면 충분히 관리될 수 있는 질환입니다.
심심근경색증은 심장의 혈관(관상동맥)이 막혀서 심장이 괴사 (썩음)되어 생기는 질환입니다. 인간의 질병 중 가장 사망률이 높아 병원에 도착하기 전에 50% 정도가 사망하고 병원에 도착하여 적극적인 치료를 하여도 사망률이 10%정도입니다. |
|
 |
매우 심한 가슴 통증이 나타나고 식은 땀, 메스꺼움 등이 함께 나타납니다. 심근경색시 가슴의 통증을 인간이 느낄 수 있는 최고의 통증이라 흔히 표현합니다. 가슴의 통증은 짓누르고 쥐어짜는 듯한 통증이고 어깨나 팔로 퍼질 수 있습니다.
|
 |
동맥경화증이란 혈관이 막혀서 생기는 병든 상태를 모두 말합니다. 협심증이란 심장혈관(관상동맥)에 동맥경화증, 혈전, 혈관수축 등이 관여하여 혈관이 좁아질 때 생기는 질환입니다. (심근 허혈 상태)심근경색증이란 관상동맥이 동맥경화증, 혈전, 혈관수축에 의해 완전히 막혀서 생기는 질환입니다.(심근 괴사 상태)
|
 |
*고혈압
*흡연: 한국인의 젊은 성인의 경우 가장 중요
*고지혈증: 총콜레스테롤이 220mg/dL 이상, 저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이 130mg/dL
*당뇨병
*비 만
*가족력으로서 부모 형제중 심장병, 뇌졸중이 있는 경우
|
 |
임상증상, 심전도, 심근효소, 심근 핵의학 검사, 심장초음파도, 관상동맥조영술 등이 있습니다.
|
 |
*가능하면 움직이지 마십시오.
*혀 밑에 넣거나 뿌리는 니트로글리세린이 있으면 즉시 복용하십시오.
*망설이지 마시고 119를 불러서 대학 병원 응급실로 가십시오.
*효과가 없는 단방 약을 사용하거나, 약국, 한의원, 개인병원에서 시간을 낭비하지 마십시오.
*발병 6시간이내에 오셔야 심장의 괴사를 막을 수 있고 늦어도 12시간 안에 오셔야 심근을 성공적으로 회복시킬수 있습니다.(심근괴사 예방시간 = 6시간 이내)
|
 |
관상동맥 내에 발생한 혈전을 녹이는 혈전용해제를 사용합니다. (발병 6시간 이내에 사용하는 것이 좋고 늦어도 12시간 이내에 사용해야 합니다.) 혈전 용해제를 사용하게 되면 전체 환자의 70% 정도는 혈전이 녹아서 혈관이 뚫리게 됩니다. 응급으로 관상동맥 조영술을 실시하여 혈전과 동맥경화증으로 막힌 관상동맥을 확인한 다음 관상동맥 중재술로 뚫어줍니다.
본 심장센터는 이러한 심장 질환을 조기에 진단하고 치료하는 종합 심장 진료 및 치료센터로서, 최근 협진 시스템과 첨단 장비 및 시설을 갖추었으며 환우님들의 진료편 의를 위하여 최단 시간 내에 모든 심장관련 검사를 마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하였습니다.
더불어 우리병원 심장센터는 최첨단 장비를 이용한 심장병의 조기 검진과 치료를 할 뿐만 아니라 진료 이후에도 지속적인 모니터를 통해 환우님의 건강을 적절히 관리 하여 환우님들의 건강한 심장을 위하여 책임감을 가지고 최선의 노력을 다할 것을 약속 드립니다.
|
 |

고혈압, 고지혈증, 부정맥, 관상동맥질환(협심증, 심근경색증), 심부전증
|
 |
 |
심혈관촬영실에서는 여러가지 카테터를 이용한 최첨단 심혈관 조영장비를 이용하여 심장내부, 관상동맥 X-선 및 초음파로 활영하여 정밀진단을 행합니다.
또한 풍선 카테터, 스텐트 등의 각종 최신적 치료도구를 이용하여 관상동맥과 말초혈관 질환에서 비수술적으로 혈관을 확장시켜 주는 시술도 시행합니다. |
|
 |
 |
관상동맥 및 말초 혈관 풍선 확장술
혈관이 좁아지거나 막혀있는 부위를 풍선을 이용하여 넓혀주는 시술입니다.
1단계 : 혈관의 좁아진 부위에 가느다란 철사선을 통과 시킵니다.
2단계 : 철사선을 통해 풍선을 좁아진 부위에 위치시킵니다.
3단계 : 풍선을 팽창시켜 좁아진 혈관벽을 넓혀줍니다.
4단계 : 넓어진 혈관을 통해 혈류는 다시 원활하게 흐르게 됩니다. |
|
|
 |
관상동맥 및 말초 혈관 스텐트 삽입술
스텐트라고 불리는 작은 철망을 이용하는 시술입니다. 시술 후에도 스텐트가 혈관속에 남아 치료부위를 지탱해 주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풍선성형술보다 재협착 확률이 낮습니다.
1단계 : 풍선위에 얹어진 스텐트가 관상동맥의 좁아진 부위에 놓여집니다.
2단계 : 풍선이 팽창되면서 스텐트가 동맥벽을 강하게 압박하여 좁아진 부위를 넓혀줍니다.
3단계 : 풍선은 몸 밖으로 나오지만, 스텐트는 영구히 남아 팽창된 부위를 지탱해 줍니다. |
|
|
 |
 |
심전도 검사
심전도검사실에서는 대형컴퓨터를 이용하여 최대20만명의 심전도를 보관 관리할 수 있으며, 동시에 모뎀을 통하여 병원내 각 병동환자의 심전도를 의뢰받고 답신함으로써 진료협동체계를 갖추고 있습니다.
|
|
|
 |
24시간 생활심전도 검사
24시간 심전도 검사실은 일상중에 일어나는 환자의 심박수 및 심전도의 변화를 24시간 기록하고 컴퓨터에 의하여 분석되어 각종 부정맥의 출현과 허혈성 심질환등을 진단하고 치료시 이에 대한 반응을 파악합니다. |
|
|
 |
운동부하 검사
운동부하 검사실에서는 답차검사를 통하여 환자의 허혈성 심근의 심전도변화와 부정맥출현 여부를 관찰하고 진단하며 심부전 환자에서 혼자의 운동능력을 평가하여 적절한 운동량을 처방할 수 있습니다. |
|
|
 |
심장 초음파
심장초음파 검사실에서는 초음파를 이용하여 심장내부의 구조를 봄으로써 선천성심질환, 심장판막질환, 심근경색과 같은 각종 심장질환을 진단하고 심장구조를 더욱 자세히 관찰할 수 있습니다. |
|
|
 |
동맥경화도 측정 검사
고혈압, 고지혈증, 당뇨병, 심근경색 등으로 인한 동맥경화와 폐색, 협착들을 노기에 진단하는 기기입니다.
양 상완과 발목의 혈압을 비 침습적으로 측정하여 ABI를 산출하여 폐색성 동맥경화증으로 인한 하지 동맥의 폐색이나 협착의 정도를 진단합니다. |
|